본문으로 바로가기
  1. Home
  2. 리뷰가 좋다/영화*뮤지컬*공연
  3. 영화 ‘루시(Lucy)’를 보고 난 후 – 뇌 사용량 100% 그 끝은?

영화 ‘루시(Lucy)’를 보고 난 후 – 뇌 사용량 100% 그 끝은?

· 댓글개 · 버섯공주
영화 ‘루시(Lucy)’를 보고 난 후 – 뇌 사용량 100% 그 끝은?

7살 때 쯤이었을까요. 동네 임신한 아주머니들을 만날 때면 "아들이네요." "딸이네요." 얼굴만 보고 딸인지, 아들인지 연속으로 7명을 맞추고 난 후 동네에서 꽤 유명인사가 된 적이 있습니다. 병원에서도 성별을 구분할 수 없는 시점에 맞췄으니 말이죠.

 

제가 교통사고가 나기 전까지는 아주머니들의 얼굴만 보고 뱃속의 아가 성별을 맞췄으니 (저 역시 그땐 어떻게 그렇게 맞췄는지 기억이 나질 않습니다) 당시엔 그게 그렇게 신기한건가- 생각했는데 성인이 된 지금 그땔 돌이켜 보면 정말 신기하긴 신기했구나- 라는 생각을 합니다.

 

지금까지 그 능력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면 어땠을까? 라는 생각도 하고요. (뭐 딸, 아들 맞춰서 어디다 써- 싶기도)

 

 

그런 경험이 있어서 그런지 인간의 '뇌'와 관련된 주제는 늘 관심있게 보게 되는 듯 합니다.

 

 

그리고 영화 '루시'는 인간의 평균 뇌사용량 10%를 넘어 100%, 한계를 뛰어넘는 부분이라는 점에서 꼭 보고 싶은 영화이기도 했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매력적인 배우, 스칼렛 요한슨이 주연이라는 점, 뤽 베송 감독에 최민식이 나오니 더더욱 말이죠.

 

 

영화 루시를 보고 든 생각은 90분이라는 러닝시간이 '뇌를 100% 사용한다'라는 이론적 현실과 상상을 담아내기엔 시간이 너무 짧지 않았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마지막 장면에선 영화 트랜센던스(Transcendence)가 생각나기도 했고요.

 

관련글 >>

 

영화 루시를 보고 영화 트랜센던스가 생각나면서… 내심 영화 트랜센던스가 낫다-라는 생각이 드는 건… 비단 저만의 생각인건지.

 

영화 루시에 대한 기대감이 너무 컸던 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뇌를 100% 사용한다는 것 자체가 감히 상상할 수 없는 주제이기도 하지만, 아하하… 감히 뤽 베송 감독의 상상력을 따라잡을 수 없더군요. 정말 영화를 보다가 나중엔 헛웃음이;;;

 

 

뇌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좀 더 허구적으로 변해가는지라 현실에 있는 제가 이해하기엔 좀 과했습니다. 제 선에서 이해가능한 수준은 루시의 뇌 사용량 40% 수준 정도?

 

예전엔 내가 누군지, 뭐가 되고 싶은지 늘 고민했는데 뇌의 가장 깊은 곳까지 열리니까 이젠 확실히 보여. 인간의 특질을 이루는 건 다 원시적인 거야. 다 장애물이지.

 

어이없지 않아?

 

네가 겪는 이 고통도 네 이해를 가로막고 있어. 지금 네가 알고 있는 건 고통뿐이야.

 

- '루시' 대사 중

 

 

 

최근 이런 저런 일로 고민이 있었는데, 영화 루시를 보고 만약 내가 뇌의 깊은 곳까지 열렸다고 생각한다면 난 어떤 결정을 내릴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뇌 사용량 100%에 가까워질수록, 감정을 잃고 냉철하게 변해가던 루시.

 

 

종종 감정이 앞서 이성적으로 판단하지 못하고 놓치는 실수들이 있습니다. 그럴 때마다 영화 '루시'를 떠올려야 겠어요. 만약 내가 루시라면 어떤 결정을 내릴까- 만약 내가 뇌 사용량 100% 라면 어떤 결정을 내릴까- 라며 말이죠.

 

 

흥미로운 주제라는 점에서 영화 '루시' 는 추천할 만하지만, 글쎄요. 재미있었냐? 혹은 그래서 결말이 어떻느냐? 라고 물으면 정확하게 답하기 어려워지네요. ^^;;

 

 

SNS 공유하기
이모티콘창 닫기
울음
안녕
감사해요
당황
피폐

이모티콘을 클릭하면 댓글창에 입력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