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누다/재테크정보
청약통장 금리 인상 및 월 납입 인정액 상향
청약통장 월 납입 인정액 상향국토교통부에서 2024년 11월 1일부터 청약통장의 월 납입 최대 인정액을 기존 10만 원에서 25만 원으로 상향하겠다고 합니다. 현재 청약통장에 가입하면 매달 최소 2만 원부터 최대 50만 원까지 자유롭게 저축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공주택 청약에서는 월 10만 원까지만 납입액으로 인정해 저축 총액이 많은 순으로 당첨자를 선정하는데요. 공공주택 청약에서 당첨에 가까워지기 위해서는 평균적으로 약 1500만 원의 저축 총액 요건을 채워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월 최대 납입 인정액인 10만 원을 매달 내더라도 12년을 꼬박 채워야 했던 셈입니다. 11월부터 월 최대 인정액인 25만 원을 매달 청약통장에 납입할 경우 인기 공공주택 청약 당첨선에 도달할 수 있는 기간이 기존 2..
지금은 연애중
옥탑방 신혼집, 그때를 돌아보며 - 아끼기만 해서는 절대 돈을 모을 수 없다
요즘 이런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 돈이 없어서 결혼할 수가 없다고 말이죠. 집을 구할 돈이 없어 결혼할 수 없고, 아이를 낳을 수 없다는 말에, 15년 이상의 연배가 지긋한 직장 선배님은 이야기 합니다. "라떼는 말이야." (나 때는 말이야) 집 값이 5천만원이면 집을 구할 수 있던 시기(직장 월급을 모아 집을 살 수 있던 시기)와 현재는 다른 터라, 직장 선배의 이야기를 들어도 전혀 공감하지 않던 직장 후배가 제게 소곤거리며 이야기했습니다. "아니, 저게 말이 됩니까? 돈 모아서 집을 살 수 있다는 게 가능해요? 결혼해서 어디에서 살아요? 뭐 단칸방, 옥탑방에서 애 낳고 키워요? 요즘 누가 신혼집을 그런 곳에서 해요..." "어... 음..." 요즘 누가 신혼집을 옥탑방후배의 이야기를 들으며 그 중간에..
나누다/재테크정보
주식담당자는 주식수익률이 얼마? 주식수익률 80% 이상 비결은?
당당하게 육아휴직 선언을 하고 후회 없이 회사를 나갈 줄 알았더니, 이래저래 쉬운 일이 없군요. 아무래도 이 첫 회사 오래오래 다닐 팔자인가 싶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돈에 대한 욕심이 무척 많습니다. 돈에 대한 욕심이 없는 이가 과연 있겠냐만은. 대화 주제도 부동산이나 주식이라면 절로 신이 납니다.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자연스레 정치나 경제사 이야기로 흘러가게 되기도 하고. 다만, 속상한 부분이 있다면 저의 이러한 관심사와 달리 같은 주제로 대화를 이어나갈 동성친구가 가까이 없다는 것이 늘 아쉽습니다. (그럼 이성친구는 있나? 음, 남편?) 회사 내 공시, IR 담당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개인주주(일명, 개미)에게 연락이 올 때면 회사 타이틀 떼어내고 진지하게 제발 시장 흐름 보고 투자하세요- ..
나누다/재테크정보
617대책 전세대출 규제 및 예외 - 3억 이하 아파트를 샀는데 이후에 오르면?
국토교통부 6.17 대책 이후, 전세대출을 받고 있는 분들이 많이 혼란스러워 하는 듯 합니다. 무주택자이면서 전세대출을 받고 있다면 해당 대책에 전혀 거리낌이 없을테지만, 1주택자 이상일 경우 잘 판단해야 하는데요. 최대한 쉽게 설명하고자 하였으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617대책 전세대출 규제내용 및 예외조치 617대책은 앞으로 투기‧투기과열지구에서 실거주를 하지 않을 아파트를 전세대출을 활용해 구입하는 행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입니다. 규제시행일(7월 중순으로 예정되어 있는데 확정시 발표한다고 합니다) 이후에 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의 3억원 초과 아파트(이하 ‘규제대상 아파트’)를 구입하고 이후 전세대출을 받으려 할 경우 전세대출을 제한합니다. 단, 아래의 경우, 예외 조치 가능한 사항입니다. 처음..
나누다/재테크정보
출산 3년 미만 가구라면, 1등급 가전 구매 비용 10% 환급 받으세요!
두 아이를 키우며 지금 살고 있는 집이 좁게 느껴져 분양권을 미리 구매해 두었습니다. 그리고 이번에 처음으로 신축 아파트로 입주하게 되는거라 설렘이 가득한데요. 결혼을 하며 신축 입주할 때 구매하려고 가전 구매도 최대한 뒤로 미루고 있었던 터라 이번에 입주하며 에어컨, 건조기, 세탁기를 새로 구매한다는 생각에 상당히 들떠 있는 상태입니다. 다만, 새로운 가전을 구매해서 좋기도 하지만, 출혈도 상당히 크다는 단점이 ㅠ_ㅠ 그러다 알게 된 좋은 사업을 확인했네요. [ 으뜸효율 가전제품 구매비용 환급사업 ] 나만 몰랐던건가- 다들 잘 알고 계신가- '환급' 이라는 단어에 눈이 번쩍! 이 사업의 대상자로 조건만 맞으면 환급 받을 수 있다는거니까요! 보통 이런 혜택을 주는 사업 대상자는 장애인이거나 기초생활수급자..
이모티콘창 닫기
울음
안녕
감사
당황
춤
피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