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 그래도 남자친구랑 이야기 나누는 게 더 좋잖아."
"아니야. 너랑은 이런 저런 이야기 나누면 맞장구 치고 동조하잖아. 남자친구는 안그래."
"응?"
"내가 직장 동료 때문에 답답해서 힘들다고 이야기했더니 그래도 같이 일하는 직장 동료인데 그렇게 생각하지 말라면서 날 더 다그치는거 있지?"
"아, 정말 친근하다. 크크. 맞아. 그러고 보니 남자친구도 그랬었는데."
남자친구가 자기편이 되어 주지 않아 속상하다는 친구의 말을 들으니 문득 연애 초기 남자친구와 그와 유사한 일로 티격태격거렸던 한 때의 기억이 떠올랐습니다.
사회생활을 할 땐 속마음을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드러내는 것이 득(得)인 경우보다 실(失)인 경우가 더 많습니다. 화가 나거나 속상한 일이 있다 하더라도 그 감정을 고스란히 드러내기 보다는 최대한 그 감정을 억제하고 잘 조절하는 것이 사회생활 잘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손꼽히기도 하니 말이죠.
하지만 사회생활을 하며 생기는 그러한 감정을 지속적으로 억누르고 있으면 화병이나 우울증에 걸리지도 모릅니다. +_+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각자 나름의 스트레스를 푸는 방법으로 운동을 하기도 하고 노래를 부르기도 하고 술로 풀기도 하나 봅니다. (때로는 먹는 것으로... 응? 저요!)
그림을 그리는 것도 재밌다는! +_+
특히, 여자들끼리의 이러한 이야기를 나눔에 있어서 포인트는 끝없는 맞장구와 끄덕임, 귀기울임입니다. 현실적인 해결책을 듣고 싶어서도 아니고, 그 상황에 대한 일목요연한 요약을 기대하는 것도 아닙니다. 그저 "어머!" "정말?" "어떡해!" "너가 힘들었겠다!" 와 같은 당시의 그 감정을 나누고 싶어 하는 것이 전부입니다. 그렇게 당시의 감정을 나누고 동조하는 것으로 '내 친구' 내 편' 이라는 것에서 더욱 동질감을 느끼고 교류하며 우정을 쌓아가곤 합니다.
여자친구들과 나누던 똑같은 이야기를 남자친구와 나누더라도 분명 같은 주제임에도 좀 더 무거워지고 좀 더 구체화 되어 집니다.
"음, 왜?"
"정말 그래서 그런걸까?"
"음. 근데 말이야."
정작 제가 이야기를 꺼내면서 기대하는 건 단 하나. 내 편!
하지만...
"…"
"왜 씩씩거려?"
"내 편 해줘야지!"
"무슨 소리야. 내 편, 네 편이 어디 있어. 난 다 너 잘 되라고 하는 말이야."
"나도 그런건 다 알아! 내가 그런 걸 몰라서 이야기 꺼낸 게 아니잖아. 그런걸 떠나서 오빤 내 편 되어줘야지!"
남자친구의 현실적인 분석과 조언으로 시작된 이야기는 "그럼 어떡해? 회사 그만 둘거야?" "그런데 군대에서는 말이야." 로 넘어가면서 꾹꾹 참고 있던 울분이 터져 나와 꽥! 질러 버렸습니다.
그 일을 계기로 남자친구에게 "오빠, 여자는 말이야...그런 현실적인 해결책을 바라고 하는 말이 아니람 말이야." 라며 여자가 기대하는 대답을 읊어 주었습니다.
그리고 그 후 남자친구는...
"그런데 말이야. 그 때, 네가 조금만 더..."
"으응..." (찌릿)
"아, 이 쯤 되면 이야기 해야 되는거지? 난 버섯편! 어떤 상황에서건 난 버섯편! 어이쿠! 걔가 나쁘네!"
이런 어설픈 남자친구의 동조만 남아 있을 뿐... -_-;;;
어설픈 동조라 할 지라도 여자친구 입장을 배려하기 위해 애쓰는 것 같아 고맙습니다. 그런 모습이 너무 예뻐 보이기도 하구요. ^^
"난 저 스카프가 더 예쁜 것 같은데?"
"음. 근데, 저건 밝은 색이어서 때가 쉽게 탈텐데."
"아, 그렇지. 그럼 저게 더 낫겠다."
"응. 그치?! 나도 저게 더 나을 것 같애!"
"근데... 왜 물어 봤어?"
"어?"
........................................음...


연애, 정답보다는 해답을 찾자 (22) | 2011.01.21 |
---|---|
서툴고 어려웠던 연애, 최악의 실수 BEST3 (38) | 2011.01.19 |
날 당황하게 만들었던 황당고백 (39) | 2011.01.17 |
돈 잘 버는 여자보다 돈 잘 쓰는 여자가 좋다 (45) | 2011.01.14 |
연인 사이를 더 달달하게! 달콤한 고자질 (21) | 2011.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