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1. Home
  2. 지금은 연애중
  3. "밥 먹었어?" 남자의 그 한마디에 황홀해진 이유

"밥 먹었어?" 남자의 그 한마디에 황홀해진 이유

· 댓글개 · 버섯공주

황홀했던 서울 남자들의 부드러움

대학생활을 위해 서울에 처음 왔을 때, 그때의 기분은 말로 다 표현할 수 없습니다. 처음으로 고향을 떠나 낯선 서울 땅에 홀로 일어선다는 것도 다소 두렵긴 했지만 그보다 “해낼 테다!” “난 할 수 있다” 라는 의지와 희망으로 가득 넘쳤었기 때문이죠. 한 가게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며 함께 일하던 남자 아르바이트생이 다가와 “밥 먹었어?” 하며 생글생글 웃는 모습에 넋을 잃고 말았었죠.

서울남자 밥 먹었어? 한마디에

왜냐구요?

좀처럼 무뚝뚝한 저의 아버지, 할아버지, 삼촌, 친척분들. 그리고 고향 남자친구들을 봐도 절대 저렇게 생글생글 웃으며 표준어를 구사하며 부드럽게 이야기 하는 것을 본 적이 없거든요.

식사 시간에는 “밥 먹었나?”

잘 시간에는 “씻고 자라”

힘든 일을 마치고 나서는 “수고했다”

오랜 만에 만나서는 “잘 지내나?”

짧은 말에 모든 말이 다 담겨 있는, 네. 그렇게 경상도 말투에 익숙해져 있다가

서울남자 말투 참 상큼하구만

“밥 먹었어?”

“잘자”

“수고했어”

“잘 지내지? 잘 지내?”

도대체 이 부드러운 말투 뭐죠? 부드러운 어투 자체가 아주 꿈뻑 넘어가겠더군요.

그야말로 뭔가 새로운 종족(응?)을 만난 것 같았다고나 할까요?

저 남자는 무슨 종족인가

지금의 남자친구를 만나면서도 이 황홀함은 그칠 줄을 몰랐습니다. (어쩌면 저, 낚인 건지도 모릅니다. 부드러운 서울말투에 그만… ㅎㅎ) 물론, 그 황홀함은 1년 정도가 지나니 사라지더군요. 익숙해져서 그런가 봅니다. 하지만, 처음 서울에 왔을 때, 서울 남자들의 말투를 듣고 혼자 흐뭇해 하던 때를 생각하면 참 우습기도 하고 잊지 못할 추억인 듯 합니다. 덧붙임. 종종 이 때를 추억하며 이야기 하곤 합니다만 서울 친구들은 이해가 안된다며 손사래를 치더군요. 풉. =.=

애교 제로인 나 – 하지만 그가 보기엔 애교덩어리?

“아- 배가 빵실빵실해.”

“아. 웃겨. 뭐라구? 배가 빵실빵실하다구?”

“왜?” “그게 뭐야. 으이그. 귀여워”

남자친구가 저를 너무 사랑한 나머지 콩깍지가 씌어 제가 무슨 말을 해도 그리도 좋은가 보다- 라고 생각했었습니다. (쿨럭;) 회사 직장 동료와 식사를 하고 나오다 또 한번의 이런 저의 표현에 배를 잡고 웃습니다.

보통 빵실빵실(방실방실)이라는 표현은 웃는 모양에 대한 것을 표현한 부사인데 배가 부르다는 표현을 이렇게 사용하니 새롭다고 말합니다. (빵실빵실이라는 표현을 배가 부르다고 표현 할 때 사용하지 않는 건가, 혹시 사투리인가 싶어 찾아봤는데 따로 검색되는 바가 없네요. 혹시 이에 대해 알고 계시면 알려주세요. 궁금해요. ^^)

습관처럼 의성어, 의태어를 평소 말할 때 많이 사용하고 있었나 봅니다.

저~기 아래 지방에 있다 서울에 올라와 지낸 지 어느 덧, 8년이 지나가고 있습니다.

고향 친구들을 만나면 상당히 어색해 합니다. 전 나름 사투리를 구사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고향 친구들은 말하죠.

“야. 그거 우리 쪽 사투리 아니잖아.”

“서울말도 아닌 것 같은데?”

“대체 그기 어느 나라 말이고?”

“알 수가 없다”

대학생활과 직장생활을 서울에서 줄곧 보내왔음에도 말투가 서울말투가 아닌 듯 합니다. 그렇다고 경상도 사투리도 아닌데 말이죠. 고개를 갸우뚱 거리며, 난 도대체 어느 지역의 말을 쓰고 있는 걸까? 라고 묻자, 남자친구가 알려주었습니다. 평소에 차분하게 행동하고 이야기를 하거나 업무상의 이야기를 할 때는 표준어를 잘 구사하다가 맛있는 것을 발견했거나 선물을 받거나 싸워서 감정에 휩싸이면 (이게 포인트인 것인가!) 서울말도 아닌 것이 그렇다고 사투리도 아닌 것이 묘하게 바뀐다고 하더군요. 그런 것이었군요. =.=

더불어 ‘난 애교 따위 키우지 않는다’는 저의 말에, 애교가 달리 있는 것이 아니라 가끔 조그만 것에도 크게 기뻐하며 사투리가 조금씩 섞여 나오는 것을 보면 기분이 좋다고 이야기 해 주더군요. 네- 경상도 여자인데다 집안의 가장으로 장녀로 책임감 강하게 아들처럼 커 온지라, 애교와는 다소, 아니 상당히, 거리가 멉니다. 그래도 이런 저를 아껴주는 남자친구를 보니 기분이 좋습니다. ^^

SNS 공유하기
이모티콘창 닫기
울음
안녕
감사해요
당황
피폐

이모티콘을 클릭하면 댓글창에 입력됩니다.